로그인
회원가입
커뮤니티
공지사항
자유게시판
가입인사
출석체크
이벤트&혜택
정보공유
N잡 후기
AI사용 후기
수익인증
문의하기
질문답변
채널 질문
도구·AI 질문
FAQ
뉴스
실시간 클리핑
전문가 칼럼
업계 동향 리포트
시작하기
맥머니 가이드(예정)
맞춤 N잡 찾기(예정)
도구 모음
스터디룸
투잡노트
N잡 플랫폼
N잡 추천영상
AI 찾기
AI 튜토리얼
AI 스킬업
프롬프트 예시
무료 전자책(예정)
N잡 플랫폼
검색
포인트정책
N잡 플랫폼 포인트 정책
글쓰기
10P
댓글
10P
전체 201건 / 11 페이지
전체
데이터라벨링
전자책
이모티콘
쌀먹게임
이미지
사진
앱테크
설문조사
체험단
제휴마케팅
위탁
리셀러
구매대행
재능거래
인기
2024.08.10 쌀먹게임
테일즈위버
테일즈위버 클래식 (TalesWeaver Classic) ← 바로가기 테일즈위버 클래식은 넥슨이 운영 중인 정통 2D RPG로, 감성 스토리 기반과 특유의 파밍/육성 구조로 다시 주목받고 있는 게임입니다. 복귀 유저와 신규 유저의 유입이 활발해지면서 **계정 가치 상승, 아이템 시세차익, 콘텐츠 제작**을 통한 수익화가 가능합니다.수익화 방법 ✅ 1) 고레벨 계정 판매 → 전직 완료 + 장비 세팅 계정은 복귀 유저 수요로 인해 거래가 높음 ✅ 2) 희귀 아이템 드랍 후 판매 → 레이드/보스/던전에서 획득 가능한 고급 장비 아이템을 수급해 현금화 가능 ✅ 3) 골드 파밍 후 외부 거래 → 골드 수급 루트를 정립하고, 일정량 축적 후 외부 거래소에서 판매 ✅ 4) 유튜브·블로그 콘텐츠화 → 복귀 가이드, 육성 루트, 장비 비교 등 영상 콘텐츠 제작 → 수익형 채널 운영 ✅ 5) 팬층 대상 감성 콘텐츠 제작 → OST 리뷰, 추억 회상, NPC 스토리 영상 등 고정 팬층 확보 → 광고 수익화 실행 전략 꿀팁 ✔️ 이벤트 캐릭터 활용: 빠른 성장으로 효율적인 계정 육성 가능 ✔️ 보스 시간표 숙지: 드랍율 높은 보스 중심 루틴 운영 ✔️ 1서버 vs 2서버 가격차 분석: 시세차를 노린 계정 구성도 가능 ✔️ 스토리 콘텐츠 연계: 감성 기반 영상은 팬덤 확보에 효과적 수익 예시 ✔️ 전직 완료 + 보스세팅 계정 → 평균 5만~20만 원에 거래 ✔️ 희귀 무기 드랍 (드래곤 블레이드 등) → 건당 수만 원 이상 거래 사례 존재 ✔️ 블로그 콘텐츠 노출 → 제휴 링크 연계 시 월 수익 3~10만 원 가능 ✔️ 유튜브 추억형 콘텐츠 → 구독자 수천 명 확보 시 광고 수익 발생 주의사항 ✅ 계정 현금 거래는 약관 위반: 안전거래 사이트 및 계정 분리 필수 ✅ 아이템 보유 계정 해킹 방지: OTP, PC 보안 강화 필수 ✅ 단기 수익보단 팬덤 기반 장기 콘텐츠 제작 추천 FAQQ. 신규 유저도 수익화가 가능한가요? A. 넥슨이 제공하는 이벤트 캐릭터 육성을 통해 빠르게 레벨업하면 무과금 유저도 계정 가치를 올릴 수 있습니다.Q. 아이템 드랍은 현실적으로 수익화가 가능한가요? A. 낮은 확률이긴 하지만 드랍템 거래가 활발하며, ‘레전더리 무기’는 단건 수익으로 월 수익을 넘어설 수 있습니다.Q. 스토리 중심 콘텐츠도 수익화될 수 있나요? A. 테일즈위버 특유의 감성 덕분에, OST, 캐릭터 서사 콘텐츠는 구독자 확보와 광고 수익에 효과적입니다.
메이크머니
조회 231
인기
2024.08.10 쌀먹게임
마비노기
마비노기 (Mabinogi) ← 바로가기 마비노기는 넥슨이 서비스하는 생활형 판타지 MMORPG로, 전투보다는 생산·생활·교역·음악 등 다양한 플레이 방식이 가능한 게임입니다. 독특한 콘텐츠와 감성적인 유저층 덕분에 계정 가치 상승, 재화 파밍, 콘텐츠화를 통한 수익화가 가능한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수익화 방법 ✅ 1) 고렙 계정 판매 → 누적 레벨, 재능 숙련도, 생활 스킬 마스터, 고급 아바타 보유 계정은 프리미엄 거래 대상 ✅ 2) 골드 파밍 후 거래 → 거래소·제작·교역 콘텐츠로 골드를 수급하여 외부에서 현금화 ✅ 3) 한정 아바타 아이템 보유 계정 판매 → 이벤트, 시즌성으로 지급된 드문 옷·무기·펫 보유 계정은 고가로 판매됨 ✅ 4) 유튜브/블로그 콘텐츠화 → 감성 배경, 자작 악보, 생활 콘텐츠, 무자본 성장기 등 영상·글 콘텐츠 제작 가능 ✅ 5) 마비노기 음악 콘텐츠 수익화 → 마비노기 악보를 실제 연주해 유튜브 채널 운영 가능 (피아노, 바이올린 등 커버) 실행 전략 꿀팁 ✔️ 생활 콘텐츠 강화: 요리, 옷제작, 연금술 등은 타 유저 거래에 유리 ✔️ 골드 수급 루트 확보: 주간 미션, 교역, 재료 제작 반복 ✔️ 한정 펫/아바타 보유 중요: 시즌별 복각템은 희소성 보유 ✔️ 감성형 콘텐츠 추천: 배경·스크린샷 중심 영상은 고정 팬 확보에 효과적 수익 예시 ✔️ 2천레벨 이상 계정 + 고급 복장 보유 → 20만~100만 원 사이 거래 가능 ✔️ 희귀 펫·옷 보유 캐릭터 → 단독으로 프리미엄 거래 사례 존재 ✔️ 유튜브 악보 연주 채널 운영 → 구독자 1천 이상 기준 월 5~20만 원 가능 ✔️ 교역/제작 루트 활용 → 골드 누적 후 월 5~10만 원 외부 수익화 가능 주의사항 ✅ 계정 거래는 약관 위반으로 계정 분리 필수 ✅ 아이템 사기 주의: 고가 템 거래 시 안전 거래 플랫폼 사용 ✅ 생활 스킬 정리 필수: 판매용 계정 구성 시 어떤 콘텐츠 특화인지 명시 필요 FAQQ. 전투를 잘 못해도 수익화가 가능한가요? A. 네, 마비노기는 요리, 연금, 음악 등 비전투 콘텐츠 기반으로 수익화가 가능한 대표적인 생활형 게임입니다.Q. 골드 수익은 현실화가 가능한가요? A. 시간 투자만 꾸준하다면, 아이템 제작/교역 루트로 월 단위 현금 수익이 가능합니다.Q. 마비노기 콘텐츠로 유튜브 운영도 되나요? A. 음악, 스토리, 감성 영상 등으로 고정 구독자를 만들 수 있으며, 의외로 피아노 커버 콘텐츠 수요도 높습니다.
메이크머니
조회 196
인기
2024.08.10 쌀먹게임
디아블로2
디아블로 II: 레저렉션 (Diablo II: Resurrected) ← 바로가기 디아블로 II: 레저렉션은 블리자드의 클래식 액션 RPG를 리마스터한 게임으로, ‘아이템 파밍 → 거래 → 현금화’ 구조가 뚜렷한 수익형 RPG입니다. 특히 시즌제 Ladder 모드에서의 희귀 아이템 거래가 활발하며, 고정 수요가 있어 꾸준한 수익화가 가능합니다.수익화 방법 ✅ 1) 희귀 아이템 파밍 후 현금 판매 → 조던링, 애니참, 횃불, 룬워드 재료 등 고가 아이템을 수집해 거래사이트에서 판매 ✅ 2) 룬파밍 → 현금화 → 룬(Lem, Pul, Ist 등)을 집중적으로 파밍해 세트 판매로 현금화 가능 ✅ 3) 계정 판매 → 캐릭터 세팅, 인벤 구성, 창고 룬 수집 등 가치가 쌓인 계정은 외부 마켓에서 거래 가능 ✅ 4) 유튜브/트위치 방송 콘텐츠 → 파밍 루트, 셋팅 가이드, 무자본 육성기, PvP 영상 제작 → 수익형 채널로 운영 ✅ 5) 커뮤니티 운영 → 정보글/거래 게시판 운영 후 광고 수익화 가능 (카페·디코 등) 실행 전략 꿀팁 ✔️ 초반 레더 진입 중요: 시즌 초 아이템 시세가 가장 높음 ✔️ 파밍 캐릭터 추천: 해머딘, 소서리스, 자벨마 (빠른 파밍 가능) ✔️ 룬 드랍 루트 숙지: 카운테스/카오스/트라빈컬 반복 루틴 효율적 ✔️ 거래소 가격 실시간 확인: 아이템마켓, 디아블로 거래 디스코드 필수 활용 수익 예시 ✔️ 고급 룬 세트 (Ist+Ohm+Ber 등) → 3~5만 원 단위로 거래 ✔️ 조던링, 애니참 → 건당 1~10만 원 이상 거래 가능 ✔️ 완성 캐릭 계정 → 스펙에 따라 10만~50만 원 이상 ✔️ 유튜브 채널 운영 시 → 월 10~30만 원 광고 수익 가능 주의사항 ✅ 블리자드 정책상 현금거래는 약관 위반 → 안전거래 플랫폼 사용 시 계정 분리 필수 ✅ 부정 프로그램 사용 금지: 봇, 핵 사용 시 영구정지 위험 ✅ 보안 강화 필수: 고가 아이템 보유 시 해킹 우려 → OTP, 이메일 인증 필수 FAQQ. 디아블로2는 현금화 가능한 아이템이 많은가요? A. 네, 시즌 초나 고급 룬, 인기 아이템은 매 시즌마다 현금 수요가 높습니다. 꾸준한 수익 창출이 가능합니다.Q. 무과금 유저도 수익을 낼 수 있나요? A. 가능합니다. 룬 파밍 루트만 알아도 무자본으로 수익화 가능하며, 다계정 활용 시 효율 증가Q. 방송 콘텐츠 수익화는 어렵지 않나요? A. 파밍 루트 소개, 시즌별 육성기, 고강화 영상 등은 디아 유저층이 두터워 시작하기에 적합한 주제입니다.
메이크머니
조회 194
인기
2024.08.10 쌀먹게임
퀘스트마인
퀘스트마인 (QUEST MINE) ← 바로가기 퀘스트마인은 유저가 직접 모바일 앱 내 퀘스트를 수행하고 그에 대한 보상을 포인트로 적립받은 뒤 **현금, 기프티콘 등으로 교환할 수 있는 수익형 리워드 앱**입니다. 광고 시청, 설문조사, 앱 설치, 미션 참여 등 누구나 스마트폰만 있으면 참여할 수 있어 진입장벽이 낮습니다.수익화 방법 ✅ 1) 미션형 퀘스트 수행 → 게임 설치, 앱 가입, 설문조사, 출석 등 다양한 퀘스트 완료 시 포인트 지급 ✅ 2) 퀘스트마켓 참여 → 특정 브랜드·서비스가 제시하는 미션에 참여하고 추가 포인트 수령 ✅ 3) 친구 초대 이벤트 → 친구에게 초대코드 공유 → 가입 시 추가 포인트 적립 ✅ 4) 포인트 현금화 → 누적 포인트를 문화상품권, 기프티콘, 계좌이체 등으로 전환 가능 ✅ 5) 커뮤니티 미션 인증 → 리뷰, 인증, SNS 홍보 등 추가 미션 참여 시 고정형 리워드 제공 실행 전략 꿀팁 ✔️ 매일 퀘스트 체크인: 출석만 해도 소량 포인트 축적 ✔️ 신규 게임/앱 다운로드 퀘스트 선점: 단가 높은 미션 우선 수행 ✔️ SNS 홍보 인증 미션 활용: 인스타그램, 블로그 운영자는 포인트 누적 빠름 ✔️ 친구 초대 이벤트 병행: 홍보 링크 활용해 포인트 수익화 가속화 수익 예시 ✔️ 하루 3~5개 미션 참여 기준 → 하루 1,000~3,000P 적립 가능 ✔️ 월 30,000~50,000P 이상 누적 시 → 3~5만 원 현금화 가능 ✔️ 이벤트형 캠페인 참여 시 → 건당 5,000P 이상 미션도 존재 ✔️ 친구 초대 10명 기준 → 5,000~10,000P 추가 적립 가능 주의사항 ✅ 중복 참여 금지: 동일한 기기·계정으로 중복 미션 참여 시 리워드 제한 ✅ 광고 차단 앱 비활성화 필수: 미션 진행 시 광고 정상 재생 필요 ✅ 현금화 전환 수수료 확인: 일부 포인트 전환 방식은 소액 수수료 발생 FAQQ. 퀘스트마인은 무자본으로 수익화가 가능한가요? A. 네, 미션 참여만으로 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으며 현금 투자 없이도 수익을 만들 수 있습니다.Q. 하루 몇 분 투자하면 어느 정도 수익이 가능한가요? A. 하루 20~30분 투자로 월 2만~5만 원 수준의 수익이 가능하며, 고효율 미션 선점 시 단기 수익도 가능합니다.Q. 포인트는 어떻게 사용되나요? A. 포인트는 앱 내에서 문화상품권, 모바일 쿠폰, 현금 등으로 전환이 가능합니다.
메이크머니
조회 205
인기
2024.08.10 쌀먹게임
캐시플레이
캐시플레이 (CashPlay) ← 바로가기 캐시플레이는 광고를 보거나, 앱을 설치하거나, 다양한 미션을 수행하면 현금처럼 사용 가능한 포인트를 지급받는 **국내 대표 리워드 수익화 앱**입니다. 누적된 포인트는 현금으로 출금하거나 기프티콘, 문화상품권 등으로 교환할 수 있습니다.수익화 방법 ✅ 1) 광고 시청 보상 → 15~30초짜리 보상형 광고 시청 후 캐시 적립 ✅ 2) 앱 설치 미션 → 신규 게임, 쇼핑앱 등 설치 후 일정 행동 수행 시 높은 보상 지급 ✅ 3) 출석/이벤트 미션 → 매일 로그인, 특정 캠페인 참여로 포인트 추가 적립 ✅ 4) 친구 초대 리워드 → 추천코드 입력 또는 링크 공유로 포인트 추가 적립 가능 ✅ 5) 캐시 출금 → 누적된 포인트를 5,000P 이상부터 현금 or 상품권으로 전환 가능 실행 전략 꿀팁 ✔️ 광고는 고정 시간대 집중: 오후~야간 광고 보상이 높게 책정되는 경우 많음 ✔️ 설치형 미션은 단가가 높음: 1건에 1,000~3,000P 이상도 가능 ✔️ 친구 초대는 상시 운영: 코드 공유용 블로그/커뮤니티에 노출하면 추가 수익화 가능 ✔️ 포인트 출금은 묶음 신청: 수수료를 아끼려면 일정 포인트 이상으로 일괄 신청 수익 예시 ✔️ 광고 10회 시청 기준 → 하루 약 500~1,000P ✔️ 설치 미션 2~3건 참여 시 → 하루 2,000~5,000P 가능 ✔️ 월 2만~5만 P 적립 → 2만~5만 원 수준 현금화 가능 ✔️ 친구 초대 10명 기준 → 5천~1만P 추가 수익화 주의사항 ✅ VPN/에뮬레이터 사용 금지: 부정행위로 간주되어 계정 정지 가능 ✅ 앱 설치 미션은 1회성: 동일 앱 중복 참여 불가 ✅ 광고 차단 앱 사용 금지: 광고 미노출 시 포인트 적립 실패 가능성 있음 FAQQ. 하루에 얼마나 벌 수 있나요? A. 평균 1~3천 포인트는 어렵지 않게 적립 가능하며, 설치 미션이 많을수록 수익은 상승합니다.Q. 적립된 포인트는 어디로 받을 수 있나요? A. 계좌 이체, 문화상품권, 기프티콘 등으로 출금하거나 전환할 수 있습니다.Q. 초등학생이나 학생도 참여 가능한가요? A. 만 14세 이상이면 이용 가능하며, 보통 학생들이 부업용으로 많이 활용합니다.
메이크머니
조회 187
인기
2024.08.10 쌀먹게임
플레이타임
플레이타임 (PlayTime) ← 바로가기 플레이타임은 잠금화면 광고를 중심으로 다양한 활동을 통해 포인트(캐시)를 적립하고 이를 **현금, 문화상품권, 기프티콘 등으로 전환**할 수 있는 대표적인 리워드 앱입니다. 스마트폰을 자주 사용하는 유저에게 특히 유리하며, 누적형 수익화에 적합합니다.수익화 방법 ✅ 1) 잠금화면 광고 보기 → 스마트폰 잠금 해제 시 광고 노출 → 포인트 자동 적립 ✅ 2) 퀘스트/이벤트 참여 → 앱 설치, 리뷰 작성, 이벤트 미션 수행 등으로 포인트 추가 적립 ✅ 3) 출석체크/랭킹 보상 → 매일 출석 시 포인트 지급, 랭킹 상위 유저는 보너스 캐시 획득 ✅ 4) 친구 초대 → 추천인 코드 공유 시 가입자와 초대한 사람 모두 캐시 적립 ✅ 5) 캐시 전환 → 5,000캐시 이상 적립 시 기프티콘, 상품권, 현금으로 교환 가능 실행 전략 꿀팁 ✔️ 잠금화면 광고 유지 필수: 자주 해제할수록 캐시 적립 효율 상승 ✔️ 출석+퀘스트 병행: 1일 기준 300~500캐시 누적 가능 ✔️ 친구 초대는 SNS 활용: 추천코드 블로그/커뮤니티 배포로 수익 확대 ✔️ 앱 설치 미션은 단가 높음: 미션형 이벤트 참여 추천 수익 예시 ✔️ 하루 평균 사용 기준 → 500~1,000캐시 적립 ✔️ 앱 설치 미션 2~3건 병행 시 → 하루 1,000~2,000캐시 ✔️ 월 누적 캐시 2만 이상 → 약 2만 원 상당 기프티콘 교환 가능 ✔️ 추천인 초대 10명 시 → 5,000~10,000캐시 추가 수익 주의사항 ✅ 광고 차단 앱 사용 금지: 광고 노출이 안 될 경우 적립되지 않음 ✅ 중복 계정·부정행위 시 정지: 동일 기기 다계정 사용은 제한 ✅ 일정 금액 이상 적립 시 세금 신고 주의: 현금 전환 누적 시 1일 5만 원 초과 시 소득으로 간주될 수 있음 FAQQ. 플레이타임은 실제 현금으로 바꿀 수 있나요? A. 네, 일정 포인트 이상 적립 시 기프티콘 외에도 현금 전환이 가능하며, 계좌 이체도 지원합니다.Q. 하루에 몇 분 정도 사용해야 수익이 생기나요? A. 잠금화면 사용 중심으로 하루 10~20분 광고 참여만 해도 월 수익 1~3만 원은 충분히 가능합니다.Q. 추천인 시스템으로 수익을 낼 수 있나요? A. 친구 초대 시 가입자·초대한 사람 모두 보상을 받기 때문에 SNS, 블로그 활용 시 부수입 만들기 좋습니다.
메이크머니
조회 196
인기
2024.08.10 쌀먹게임
플레이오
플레이오 (Playio) ← 바로가기 플레이오는 모바일 게임을 설치하고 플레이하는 것만으로 포인트를 적립하여 **기프티콘, 문화상품권, 현금 등으로 교환 가능한 게임 리워드 플랫폼**입니다. 단순 광고 시청이 아닌, “실제 게임 경험”을 통해 수익을 올릴 수 있는 방식이 특징입니다.수익화 방법 ✅ 1) 게임 설치 및 플레이 미션 → 플랫폼 내 제시된 모바일 게임 설치 후 일정 조건 달성 시 포인트 지급 ✅ 2) 앱 내 미션 반복 참여 → 특정 미션 (예: 5레벨 달성, 3일 접속 유지 등) 달성 시 추가 리워드 적립 ✅ 3) 친구 초대 보상 → 추천 링크 또는 코드 공유로 가입 유도 시 포인트 제공 ✅ 4) 포인트 교환 → 적립된 포인트를 컬쳐랜드, 해피머니, 기프티콘 등으로 교환 가능 ✅ 5) 광고 시청 보너스 → 짧은 광고 영상 시청 시 소량 포인트 추가 적립 실행 전략 꿀팁 ✔️ 신규 게임 위주 공략: 설치 후 첫 접속 보상 미션이 가장 단가 높음 ✔️ 레벨업 미션 우선 공략: 초반 플레이로 완료 가능한 조건부터 우선 선택 ✔️ 매일 출석 보상 병행: 푸시 알림 활용해 출석 미션 누락 방지 ✔️ 친구 초대는 블로그/SNS 병행: 코드 유입으로 추가 수익화 가능 수익 예시 ✔️ 1개 게임 설치 + 플레이 미션 완료 → 평균 2,000~5,000P 적립 ✔️ 하루 2~3개 미션 수행 시 → 1일 5,000~10,000P 가능 ✔️ 월간 누적 기준 → 약 3만~7만 원 상당 상품권 수익 실현 가능 ✔️ 친구 초대 10명 기준 → 1~2만P 추가 적립 가능 주의사항 ✅ 게임 설치 후 조건 달성까지 소요 시간 확인: 일부 미션은 다소 시간이 걸릴 수 있음 ✅ 같은 게임 재참여 불가: 이미 참여한 게임은 포인트 중복 지급 X ✅ VPN/에뮬레이터 사용 금지: 부정 행위 탐지 시 계정 정지 가능 FAQQ. 게임을 못해도 수익화가 가능한가요? A. 네, 대부분 쉬운 캐주얼 게임 중심이기 때문에 누구나 클리어 가능한 미션이 많습니다.Q. 얼마나 자주 하면 수익이 생기나요? A. 하루 30분~1시간 정도 투자 시 한 달 3만~5만 원 수준 현금 또는 상품권 교환이 가능합니다.Q. 어떤 보상으로 전환할 수 있나요? A. 컬쳐랜드 문화상품권, 해피머니, 기프티콘 등 다양한 형태로 교환 가능합니다.
메이크머니
조회 206
인기
2024.08.10 쌀먹게임
미스트플레이
미스트플레이 (Mistplay) ← 바로가기 미스트플레이는 게임을 플레이하고 레벨을 올리기만 해도 포인트가 쌓이는 **미국·캐나다 등 북미권에서 인기 있는 게임 리워드 앱**으로, 한국어 버전도 제공되어 누구나 게임하면서 상품권을 받을 수 있는 앱입니다.수익화 방법 ✅ 1) 추천 게임 설치 및 플레이 → 앱 내 제안된 게임 설치 후 일정 시간 이상 플레이 시 포인트(GXP) 지급 ✅ 2) 게임 내 레벨업 달성 → 플레이한 게임에서 캐릭터/계정 레벨이 오를수록 더 많은 포인트 적립 ✅ 3) 미션 도전 달성 → 특정 게임별 미션 (예: X스테이지 도달 등) 클리어 시 보너스 지급 ✅ 4) 포인트 상품권 교환 → 누적 포인트로 구글 기프트카드, 아마존 상품권, 스타벅스 기프티콘 등과 교환 가능 ✅ 5) 친구 초대 리워드 → 친구가 가입 후 활동하면 추가 포인트 지급 실행 전략 꿀팁 ✔️ GXP는 “시간+레벨업” 모두 반영: 플레이 시간만 채우는 것보다 실질적 진행이 더 유리 ✔️ 한 게임에 집중: 여러 게임을 동시에 하는 것보다 한 게임을 꾸준히 하는 게 효율 높음 ✔️ VPN 금지: 지역 우회 시 포인트 적립 불가 ✔️ 추천 코드 공유: 지인/SNS 통해 추가 리워드 수익화 가능 수익 예시 ✔️ 1개 게임 3~5일 집중 플레이 → 2,000~3,000 GXP 적립 가능 ✔️ 누적 3,000~5,000 GXP 기준 → $5~10 상당의 기프트카드 교환 가능 ✔️ 하루 1시간씩 2주 플레이 기준 → $20 이상 상품권 수익화 가능 ✔️ 친구 초대 5명 시 → $5 상당 보너스 포인트 추가 획득 주의사항 ✅ 앱 내 추천 게임만 플레이해야 적립: 외부 설치나 이전 설치 게임은 포인트 없음 ✅ 기프트카드 교환은 최소 GXP 충족 필요: 지역별 차이 있음 (미국/한국판 확인) ✅ 과도한 다계정 운영 금지: 포인트 몰수 또는 정지될 수 있음 FAQQ. 미스트플레이는 정말 돈이 되나요? A. 네, 실제 플레이 시간과 게임 내 활동으로 포인트를 쌓아 실물 기프티콘으로 교환이 가능합니다.Q. 무과금 유저도 가능한가요? A. 가능합니다. 대부분 캐주얼 게임 위주이며, 과금 없이도 플레이 시간과 미션 달성으로 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습니다.Q. 기프트카드는 어떤 종류가 있나요? A. 아마존, 구글플레이, 스타벅스, 아이튠즈 기프트카드 등으로 교환할 수 있으며, 지역별 교환처 차이는 있을 수 있습니다.
메이크머니
조회 189
인기
2024.08.26 이모티콘
카카오 이모티콘 스튜디오 수익 및 제작관련 블로그 모음
메이크머니
조회 198
인기
2024.08.10 이모티콘
카카오톡 이모티콘 스튜디오
카카오 이모티콘 스튜디오 ← 바로가기 카카오 이모티콘 스튜디오는 누구나 직접 이모티콘을 기획·제작해 카카오톡 및 관련 플랫폼에서 판매하고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창작자 전용 플랫폼입니다.서비스 소개 ✔️ 누구나 지원 가능: 일반인부터 일러스트레이터까지 ✔️ 판매 채널: 카카오톡 이모티콘샵 및 글로벌 카카오 계열 앱 ✔️ 심사 승인 후 자동 판매: 승인만 나면 자동 등록 및 판매 가능 수익화 방법1️⃣ 스튜디오 사이트에 회원가입 → 크리에이터 등록2️⃣ 캐릭터 및 이모티콘 이미지 기획/제작 (PNG 또는 GIF)3️⃣ 작품 제출 및 기획서 입력 → 심사 신청4️⃣ 심사 승인 시 카카오 이모티콘샵 자동 등록5️⃣ 판매 수익은 월별로 정산되어 계좌 입금이용자 유형 예시 ✔️ 초보자: 스티커형, 간단한 캐릭터 스타일로 도전 가능 ✔️ 디자이너: 자신만의 캐릭터 IP 구축 및 굿즈 확장 가능 ✔️ 기업·브랜드: 브랜드 캐릭터 마케팅 및 팬덤 관리용 이모티콘 종류 ✔️ 정적 이모티콘: 움직이지 않는 이미지 (PNG) ✔️ 모션 이모티콘: 움직이는 GIF (애니메이션) ✔️ 사운드 이모티콘: 음향 효과가 들어간 캐릭터 ✔️ 콘텐츠형: 대화문/상황 문구 포함된 메시지형 이모티콘 정산 방식 ✅ 정산 주기: 매월 판매량 기준 익월 중순 정산 ✅ 입금 방식: 등록된 국내 또는 해외 계좌로 자동 송금 ✅ 분배 방식: 수익은 카카오와 일정 비율로 나뉘며, 상세 비율은 비공개 특장점 ✅ 카카오톡 기반 국내 최대 이모티콘 플랫폼 ✅ 창작자 누구나 참여 가능 (비전문가도 OK) ✅ 자동정산 + 글로벌 판매 확장 가능성 ✅ 캐릭터 콘텐츠 기반의 무자본 수익화 실현 FAQQ. 그림을 잘 못 그려도 이모티콘 제작이 가능한가요? A. 네, 기본적인 구성만 가능하면 누구나 도전 가능합니다. 특히 '스티커형'이나 '단순 메시지형' 이모티콘은 초보자에게 적합합니다.Q. 판매 심사에는 얼마나 걸리나요? A. 평균적으로 심사는 7~20일 이내에 결과가 나며, 이모티콘마다 상이합니다.Q. 수익은 얼마나 발생하나요? A. 인기에 따라 다르지만, 인기 이모티콘은 월 50만~수백만 원, 일반 이모티콘은 5~20만 원 선의 수익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메이크머니
조회 258
인기
2024.08.10 이모티콘
위쳇 이모티콘
위챗 이모티콘 플랫폼 ← 바로가기 위챗(WeChat) 이모티콘 플랫폼은 텐센트가 운영하는 중국 대표 메신저 ‘위챗’ 내 이모티콘 판매 시스템으로, 국내·해외 크리에이터 모두 등록 및 수익화가 가능한 글로벌 이모티콘 플랫폼입니다.서비스 소개 ✔️ 중국 최대 메신저 위챗 기반 이모티콘 스토어 운영 ✔️ 크리에이터 등록 후 제출 → 심사 → 승인 → 판매 구조 ✔️ 중국 현지 또는 해외 창작자 모두 가능 (2023년부터 해외 대상 확대) 수익화 방법1️⃣ 위챗 이모티콘 웹사이트에서 작가 등록 신청2️⃣ 캐릭터 디자인 + GIF 또는 PNG 이모티콘 구성 (최대 24개)3️⃣ 타이틀·카테고리 설정 후 작품 제출4️⃣ 심사 승인되면 위챗 이모티콘샵 자동 노출5️⃣ 사용자가 다운로드하면 매출 발생 → 정산 지급이용자 유형 예시 ✅ 디자이너/일러스트레이터: 해외시장 진출에 관심 있는 창작자 ✅ 한중 동시 판매 희망자: 카카오/라인 등과 병행 가능 ✅ 애니메이션 기반 창작자: 모션 표현력이 우수할수록 유리 이모티콘 종류 ✔️ 정적 이모티콘: PNG 이미지 16~24개 ✔️ 움직이는 GIF 이모티콘: 1초~5초 애니메이션 ✔️ 스티커 세트: 테마형 캐릭터 묶음 구성 ※ 사운드 이모티콘은 미지원 정산 방식 ✅ 판매 수익 분배: 창작자 수익은 판매 단가의 약 50% 수준 ✅ 정산 주기: 월별 정산 / 달러 기준 / 페이팔·은행계좌 입금 가능 ✅ 현지 세금 처리 필요: 중국 원천징수 적용 시 일부 공제 특장점 ✅ 중국 사용자를 타겟으로 **글로벌 수익화** 가능 ✅ **모션 중심 이모티콘**이 인기 높음 ✅ 한국 작가들도 **승인 사례 다수** 존재 (포트폴리오 비중 중요) ✅ 수익 외에도 **SNS 노출·포트폴리오 활용도** 우수 FAQQ. 해외 작가도 등록 가능한가요? A. 네, 이메일 인증 및 포트폴리오 제출 후 심사 통과 시 누구나 등록 가능합니다.Q. 수익은 어떻게 정산되나요? A. 매월 기준으로 위챗이 판매량 집계 후 페이팔 또는 은행계좌로 입금해줍니다.Q. 중국어가 필수인가요? A. 중국어 인터페이스가 기본이나 구글번역 등을 활용하면 기본 등록은 충분히 가능하며, 번역 지원 툴도 제공됩니다.
메이크머니
조회 219
인기
2024.08.10 이모티콘
라인 크리에이터 마켓
라인 크리에이터스 마켓 ← 바로가기 라인 크리에이터스 마켓은 개인 창작자가 직접 이모티콘(스티커)를 제작하여 라인 메신저에서 판매할 수 있도록 운영되는 글로벌 크리에이터 플랫폼입니다.서비스 소개 ✔️ 누구나 참여 가능: 전 세계 개인/팀/법인 모두 등록 가능 ✔️ 라인 메신저 전 세계 유저 대상 판매 ✔️ 심사 통과 시 자동 등록 및 다국어 지원 수익화 방법1️⃣ 라인 계정으로 로그인 후 ‘크리에이터 등록’2️⃣ 스티커, 움직이는 스티커, 메시지 스티커 중 선택해 제작3️⃣ 8~40개 스티커 세트 구성 후 제출4️⃣ 라인 심사 후 승인되면 전 세계 라인 스토어에서 판매 시작5️⃣ 판매 수익은 월별 정산되어 지급됨이모티콘(스티커) 종류 ✔️ 정적 스티커: PNG 이미지, 기본형 (370x320px) ✔️ 애니메이션 스티커: 움직이는 GIF/APNG 형식 ✔️ 메시지 스티커: 문장 삽입형 대화 전용 스티커 ✔️ 팝업 스티커: 채팅창 중앙에 크게 등장하는 스타일 ✔️ 이펙트 스티커: 화면 전체 배경이 바뀌는 효과형 정산 방식 ✅ 라인 수익 분배: 판매 수익의 50%를 창작자가 수령 ✅ 정산 주기: 매월 수익 발생 → 익월 25일 전후 정산 ✅ 정산 조건: 누적 수익 1,000엔 이상 시 지급 가능 ✅ 정산 수단: Paypal 또는 지정 계좌 특장점 ✅ 전 세계 라인 사용자 대상 판매 가능 (일본, 태국, 대만 등) ✅ 다양한 이모티콘 포맷 지원으로 확장성 높음 ✅ 한국인 인기 작가 다수 진출 / 팬덤 유입에 효과적 ✅ 카카오 대비 글로벌 확장에 유리한 플랫폼 FAQQ. 일본 외 국가에서도 수익이 발생하나요? A. 네, 전 세계 라인 사용자가 스토어에서 구매하면 수익이 창출됩니다.Q. 일본어로 제출해야 하나요? A. 번역은 자동 제공되므로 한국어로 제출해도 무방합니다.Q. 수익은 얼마나 발생할 수 있나요? A. 인기 있는 작가의 경우 월 수십~수백만 원 이상 가능하며, 보통은 수천 엔~수만 엔 정도로 시작됩니다.
메이크머니
조회 217
인기
2024.08.10 이모티콘
네이버 OGQ 마켓
네이버 OGQ 마켓 ← 바로가기 네이버 OGQ 마켓은 일러스트, 배경화면, 사운드, 이모티콘 등 디지털 콘텐츠를 직접 제작하고 유료로 판매할 수 있는 창작자 중심의 마켓입니다. 네이버 OGQ 마켓 내 '스티커' 메뉴를 통해 이모티콘 형식으로 수익화가 가능합니다.서비스 소개 ✔️ 네이버 OGQ 에디터를 통해 누구나 창작자 등록 가능 ✔️ 스티커(이모티콘), 배경화면, 음악 등 다양한 포맷 등록 가능 ✔️ 네이버 OGQ 플랫폼 및 OGQ샵 앱에서 판매됨 수익화 방법1️⃣ 네이버 OGQ 마켓 접속 후 '창작자 등록'2️⃣ 스티커(이모티콘) 이미지 16개 이상 등록3️⃣ 설명·카테고리 설정 후 판매 신청4️⃣ 내부 검수 완료되면 OGQ 마켓/앱에 자동 판매 등록5️⃣ 이용자 구매 시 판매 수익 발생이모티콘 구성 예시 ✔️ 정적 스티커: PNG 기반 이미지 16개 이상 ✔️ GIF 스티커: 움직이는 스티커도 가능 (단, 용량 제한 존재) ✔️ 기타 포맷: 이모티콘 외 배경화면, 음원, 효과음 등도 동시 등록 가능 정산 방식 ✅ 수익 배분: 창작자 60% / OGQ 40% 비율 ✅ 정산 주기: 매월 15일 이후 전월 수익 자동 정산 ✅ 출금 방법: 네이버페이 또는 창작자 계좌 입금 특장점 ✅ 별도 툴 없이 간단한 업로드로 판매 시작 가능 ✅ 네이버 연동 로그인 지원으로 편의성 높음 ✅ OGQ 마켓 외에도 모바일 OGQ샵 앱에 자동 노출 ✅ 이모티콘 외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로 확장 가능 FAQQ. 초보자도 이모티콘 등록이 가능한가요? A. 네, 툴 없이 이미지 파일만 업로드하면 되며 심사 기준도 비교적 유연합니다.Q. 수익은 얼마나 벌 수 있나요? A. 인기 작가 기준 월 수십만 원 이상의 수익이 가능하며, 일러스트 감성에 따라 성패가 갈립니다.Q. 네이버페이와 연동되나요? A. 네, 창작자 수익은 네이버페이로도 출금 가능하여 매우 편리합니다.
메이크머니
조회 219
인기
2024.08.10 이모티콘
플래티콘
플래티콘 (Flaticon) ← 바로가기 Flaticon은 세계 최대 규모의 아이콘·벡터 이미지 플랫폼으로, 디자이너가 만든 아이콘/스티커/이모티콘을 글로벌 유저에게 판매하고 수익화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서비스 소개 ✔️ 100만 개 이상 아이콘을 보유한 세계 최대급 벡터 플랫폼 ✔️ 전 세계 디자이너가 창작자로 등록해 아이콘·스티커 등록 가능 ✔️ 구독 사용자 기반 수익 배분 시스템 수익화 방법1️⃣ Flaticon 홈페이지 하단 'Become a contributor' 메뉴 클릭2️⃣ Freepik 계정으로 연동 후 Contributor 계정 등록3️⃣ 자신이 제작한 PNG, SVG, EPS 형식의 아이콘 또는 스티커 업로드4️⃣ 심사 승인 시 Flaticon 검색/카테고리에 자동 노출5️⃣ 다운로드 수와 구독자 사용량에 따라 수익 발생업로드 가능 콘텐츠 유형 ✔️ 아이콘: PNG / SVG / EPS (벡터 기반 기본 포맷) ✔️ 스티커: 투명 배경 PNG 기반 감성 일러스트 ✔️ 이모티콘 스타일 일러스트: 메시지 없이 감정 전달 중심 정산 방식 ✅ 수익 기준: 구독자 수익 분배 + 광고 수익 일부 포함 ✅ 지급 방식: 매월 수익 확정 후 PayPal 또는 Payoneer로 송금 ✅ 최소 지급 조건: $100 이상 적립 시 출금 가능 특장점 ✅ 전 세계 디자이너 대상 플랫폼으로 노출력 매우 우수 ✅ 단순 아이콘부터 이모티콘 스타일 일러스트까지 가능 ✅ 스티커 시장 외 다용도 디자인 유통 가능성 ✅ Freepik, Slidesgo 등과 연동되어 다양한 확장 가능 FAQQ. 정식 이모티콘 플랫폼은 아닌가요? A. 네, Flaticon은 메시지 기반 이모티콘 플랫폼은 아니지만, 이모티콘처럼 활용 가능한 일러스트·아이콘·스티커를 제작해 판매 가능합니다.Q. 수익은 얼마나 발생하나요? A. 다운로드 수 및 구독자 노출량에 따라 다르며, 상위 작가는 월 $500~$5,000 수준의 수익도 보고되고 있습니다.Q. 콘텐츠 심사 기준이 까다로운가요? A. 심사는 다소 엄격하며, 디자인 퀄리티와 유사 콘텐츠 중복성 여부를 중점 검토합니다.
메이크머니
조회 209
인기
2024.08.10 이모티콘
더나운 프로젝트
더 나운 프로젝트 (The Noun Project) ← 바로가기 The Noun Project는 아이콘과 벡터 일러스트를 중심으로 디자이너가 직접 업로드하고, 다양한 기업·개발자·디자이너들이 사용료를 지불하여 활용하는 글로벌 아이콘 유통 플랫폼입니다.서비스 소개 ✔️ 140만 개 이상의 아이콘 보유 ✔️ 일러스트, 아이콘, 심플 라인 드로잉 기반 콘텐츠에 특화 ✔️ 구독자 및 단건 다운로드 기반의 로열티 수익 정산 구조 수익화 방법1️⃣ The Noun Project 홈페이지 우측 상단 ‘Contribute’ 클릭2️⃣ 아이콘 디자이너 신청 및 기본 포트폴리오 제출3️⃣ 승인 후 SVG 또는 PNG 아이콘 업로드 (400x400px 권장)4️⃣ 업로드된 아이콘은 검색/태그를 통해 사용자에게 노출5️⃣ 다운로드 또는 구독자 사용 시 수익 발생업로드 가능 콘텐츠 ✔️ 라인 아이콘: SVG 또는 PNG 기반의 선명한 흑백 아이콘 ✔️ 컬러 일러스트: 컬러 지원 시작됨 (AI·Figma 연동 가능) ✔️ 카테고리 예시: 사람, 사물, 감정, UI, 행동, 교통, 환경 등 정산 방식 ✅ 정산 구조: 유료 사용자 다운로드 1건마다 로열티 지급 ✅ 구독자 기반 수익 분배도 적용되어 지속적 수익 발생 가능 ✅ 정산 수단: PayPal로 월별 자동 정산 ✅ 최소 정산 금액: $10 이상부터 인출 가능 특장점 ✅ 디자이너 입장에서 수익이 꾸준히 발생하는 구조 ✅ Figma, Google Docs 등과 공식 연동되어 노출 기회 높음 ✅ 심플 디자인·UI용 아이콘 수요가 매우 큼 ✅ 고퀄리티 흑백 아이콘의 경우 승인율 및 다운로드 수 높음 FAQQ. 아이콘 제작 경험이 없는데 참여할 수 있나요? A. 가능하나, 벡터 기반 제작 도구(SVG 저장 필수)를 다룰 수 있어야 하며, 깔끔한 선형 아이콘 스타일이 요구됩니다.Q. 나의 아이콘이 어디에서 사용되나요? A. 프레젠테이션, 앱, 웹디자인, 출판 등에서 사용되며, Google·Microsoft·Notion 등도 사용 고객입니다.Q. 수익은 얼마나 기대할 수 있나요? A. 다운로드 수에 따라 월 수십~수백 달러 이상 수익이 가능하며, 인기 작가의 경우 연 3,000달러 이상 벌기도 합니다.
메이크머니
조회 212
인기
2024.08.10 이모티콘
위버딩
위버딩 (Webudding) ← 바로가기 위버딩은 스티커, 이모티콘, 디지털 굿즈, 배경화면 등 창작 콘텐츠를 누구나 판매하고 수익화할 수 있는 국내 대표 디지털 콘텐츠 마켓입니다.서비스 소개 ✔️ 국내 최초 디지털 굿즈 마켓으로 다양한 창작자 입점 중 ✔️ PNG 이모티콘, 움직이는 스티커, 스마트폰 배경화면 등 판매 가능 ✔️ 1인 창작자·팀·디자이너 누구나 입점 가능 수익화 방법1️⃣ 위버딩 셀러센터(https://seller.webudding.com) 회원가입2️⃣ ‘디지털 상품 등록’에서 이모티콘 또는 스티커 선택3️⃣ 16~24개의 이미지 구성, 타이틀/가격 등 입력4️⃣ 관리자 검수 통과 시 자동 스토어 등록 및 판매 개시5️⃣ 판매 금액 기준 수익 정산이모티콘 등록 콘텐츠 유형 ✔️ 정적 이모티콘: PNG 이미지, 감정 표현 중심 ✔️ 움직이는 스티커: GIF 또는 APNG 가능 (움직임 포함) ✔️ 일러스트 스티커: 캐릭터/동물/밈 기반 자유 포맷 가능 정산 방식 ✅ 판매 수익 분배: 작가 70% / 위버딩 30% 수익 배분 ✅ 정산 주기: 매달 말일까지 정산 요청 가능 ✅ 최소 출금: 누적 정산금 10,000원 이상부터 신청 가능 ✅ 출금 방법: 개인/사업자 계좌 이체 지원 특장점 ✅ 네이버 OGQ와 달리 디자인 감성보다 밈/개그 이모티콘도 가능 ✅ 최소 진입장벽이 낮아 초보 창작자에게 적합 ✅ 디지털 굿즈 복합 판매 가능 (이모티콘 외에도 배경화면 등 확장 가능) ✅ 스마트폰 앱 기반 사용자층 확보 (Webudding 앱 운영) FAQQ. 초보자도 이모티콘 등록이 가능한가요? A. 네, 툴 없이 PNG만 있어도 등록 가능하며, 움직임이 없어도 충분히 판매 가능합니다.Q. 위버딩만의 특징은? A. 캐릭터 중심보다는 ‘짤’ 스타일의 유머형 콘텐츠도 잘 팔리며, 플랫폼 자체가 창작자 친화적으로 운영됩니다.Q. 수익은 어느 정도인가요? A. 인기 작가 기준 월 10만~50만 원, 일반 작가는 초기 1~5만 원 수준으로 시작됩니다. 마케팅 없이도 앱 노출로 유입이 꾸준합니다.
메이크머니
조회 206
검색
처음
이전
열린
11
페이지
12
페이지
13
페이지
맨끝
검색
게시물 검색
검색대상
제목
내용
제목+내용
글쓴이
글쓴이(코)
검색어
필수
Guest
로그인
회원가입
커뮤니티
공지사항
자유게시판
가입인사
출석체크
이벤트&혜택
정보공유
N잡 후기
AI사용 후기
수익인증
문의하기
질문답변
채널 질문
도구·AI 질문
FAQ
뉴스
실시간 클리핑
전문가 칼럼
업계 동향 리포트
시작하기
맥머니 가이드(예정)
맞춤 N잡 찾기(예정)
도구 모음
스터디룸
투잡노트
N잡 플랫폼
N잡 추천영상
AI 찾기
AI 튜토리얼
AI 스킬업
프롬프트 예시
무료 전자책(예정)